가락동 구축 아파트 분석

송파 가락동 구축 아파트 4총사 비교(가락쌍용, 가락금호, 가락극동, 가락우성1차)

강남3구 중에 그나마 만만한 곳이 송파구이고, 송파구에서 아직 그나마 중산층과 서민에게 기회의 사다리가 남아있는 곳이 잠실과 오금동을 제외한 송파구 지역이라고 생각한다. 그중에서도 잠실과 가깝고 교통도 편리하며, 학군도 나쁘지 않은 평지 지형에 있는 가락동은 송파구에 처음으로 입성하는 실거주자나 투자자들이 관심을 보이는 곳이다. 신축이나 준신축은 가격이 비싸고, 그나마 가락동 구축 아파트들이 접근 가능한 가격이다. 이번 글에서는 가락동에 있는 대표적인 구축 아파트인 가락쌍용, 가락금호, 가락극동, 가락우성1차 아파트를 서로 비교해보면서 장점과 단점, 정비사업 진행 현황 등을 정리해 본다.

고척 푸르지오 힐스테이트

고척 푸르지오 힐스테이트 – 분양가 예상과 안전마진 분석(ft. 광명뉴타운과 비교)

5월에는 서울에서 아파트 분양이 진행된다. 은평구에서는 대조1구역 힐스테이트 메디힐레가, 구로구에서는 고척4구역 고척 푸르지오 힐스테이트가 청약을 시작할 예정이다. 귀하디 귀한 서울 신축이다. 이번 글에서는 구로구 고척동에서 분양하는 고척 푸르지오 힐스테이트의 예상 분양가와 안전마진을 살펴보고, 광명뉴타운 및 인근 아파트와 가격을 비교해 본다.

1~4세대 아파트별 특징과 구분하는 요소 8가지(ft. 각 세대별 대표 아파트)

아파트는 지어진 연식에 따라 1세대부터 4세대까지 분류된다. 마치 걸그룹이 데뷔한 시기에 따라 세대별로 분류하듯, 아파트도 비슷하다. 같은 세대에 속한 아파트들은 해당 아파트가 건설되었던 시대의 요구와 필요, 당시 유행했던 흐름에 따라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이번 글에서는 아파트를 1세대, 2세대, 3세대, 4세대로 구분해보고 아파트 세대를 구분하는 요소와 각 세대별 아파트의 특징을 정리해 본다.

청계 노르웨이숲

4월 유일한 서울 분양 아파트 – 청계 노르웨이숲(분양가, 입지 분석)

서울의 아파트 공급 절벽이 현실화되고 있는 것 같다. 2025년 들어 청약홈에서 서울 아파트 공급 찾기가 하늘의 별따기 수준으로 어려워졌다. 2025년 4월 한 달간 서울에서 공급되는 아파트는 오늘 알아볼 황학동 청계노르웨이숲 아파트가 유일하다. 4월에 유일하게 서울에서 분양하는 황학동 청계 노르웨이숲 아파트에 대해 정리해본다.

지하철 개통과 아파트 가격

지하철 개통과 아파트 가격의 상관관계 분석(ft. 역세권의 허상)

부동산 시장에서 철도 교통은 최고의 호재로 여겨진다. 사람들은 지하철이 개통하고 역이 생기면 주변 아파트 가격이 오를 것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 그러나 역세권이 되는 것은 의외로 부동산 가격 상승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번 글에서는 지하철 노선 개통과 인근 아파트 가격 변화를 통해 이를 검증해보도록 한다.

경기광주역 라온프라이빗 드림시티

경기광주역 라온프라이빗 드림시티 – 사기여부 검증, 투자 시 주의점(ft. 시청의 경고)

최근 살고 있는 지역에 한 아파트 현수막이 어지럽게 붙었다. 인근에서 분양하는 아파트도 없는데 무슨 아파트인지 자세히 보니 민간임대아파트 홍보였다. 그런데 이상했다. 주변에서 민간임대 아파트를 공급한다는 이야기도 들어본 적이 없었다. 아파트 위치를 보니 경기도 광주시라고 했고, 시공사는 라온건설이라고 되어 있었다. 정체를 알아보니 이 아파트의 정식 이름은 ‘경기광주역 라온프라이빗 드림시티’라는 아파트였다. 이번 글에서는 이 아파트에 대해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사기인지 아닌지 확인해 본다.

사라지는 TR형 ETF 목록

사라지는 TR형 ETF 목록 정리(국내 상장 해외주식 대상 ETF)

2025년에는 ETF에 대한 정책 변화가 많다. 우선 2025년 1월부터 해외 ETF를 대상으로 배당에 대한 과세 방식이 바뀌었다. 이로 인해 일반 투자 계좌에서는 변화가 없지만, 과세 이연 혜택이 있는 ISA나 연금저축펀드 계좌에서는 손해가 발생하게 되었다(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 참조). 이어서 생기게 될 변화는 국내 증시에 상장된 해외주식 TR형 ETF가 7월 1일부터 사라진다는 점이다. 이번 글에서는 TR형 ETF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왜 사라지게 되는지, 사라지는 TR형 ETF에는 어떤 ETF가 있는지 정리해 본다.

‘매매거래계좌설정약관 개정’ 메일이 자꾸 오는 이유(ft. 대체 거래소 도입과 변화 내용)

공모주 청약 등의 이유로 주식 계좌를 많이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면, 최근 증권사에서 부쩍 같은 내용의 이메일이 많이 날아오고 있다는 느낌을 받을 것이다. 증권사에서 오는 대부분의 메일 제목은 ‘매매거래계좌설정약관개정’과 ‘최선집행기준 설명서’이다. 이번 글에서는 왜 증권사에서 위와 같은 메일이 오는 지 정리해본다.